본문 바로가기
행복한 투자

돈의 흐름을 이해하라: 가계부로 시작하는 장기 투자 자금 마련

by CHICHICHI 2024. 10. 1.
728x90

이전 글에서 내가 장기 투자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이를 위한 자금 시스템화를 이야기했다.

자금의 흐름을 자동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매달 투자에 사용할 자본을 마련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얼마를 투자할 수 있을까?

"얼마를 투자해야 할까? 내 상황에서는 매달 얼마를 투자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계부 작성이다. 이 이야기는 너무 흔하게 들리지만, 가계부야말로 자산 관리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 된다.

 

나의 경우, 구글 시트에 들어가서 'monthly budget'이라는 템플릿을 사용해 본격적으로 재정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현재 수입, 저축, 지출, 그리고 부채까지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첫 단계다. 3개월 동안 이러한 흐름을 기록하며 내가 매달 얼마를 투자에 할당할 수 있는지 정확히 알게 된다.

 

"What gets measured gets managed." – Peter Drucker
(측정되는 것은 관리된다.)
이 명언은 가계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돈의 흐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투자의 첫 단계다.

 


Monthly Budget


가계부와 함께 세워야 할 목표

가계부를 작성하며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동안, 동시에 목표도 설정해야 한다. 목표가 없다면 돈을 모으는 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 목표 1: 5년 동안 2억 원을 모아 집을 사기 위한 다운페이먼트 준비.
  • 목표 2: 65세에 은퇴하고, 은퇴 후 매달 400만 원씩 사용할 계획으로 20년 동안 12억 원 모으기.

이처럼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금액까지 명확히 정하면, 돈을 모으는 계획이 더 현실적이고 동기부여가 된다. 또한, 투자 기간을 5년, 10년, 20년 등으로 장기적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 투자는 한두 해의 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지속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


나의 목표와 투자 전략

나의 경우, 은퇴 후의 삶을 준비하며 20년 동안 자금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계산해 본 결과, 매달 약 150만 원 정도를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는 급여 인상이나 다른 수입원을 통해 투자 자본을 더 늘려갈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3개월 동안 가계부를 작성하며 큰 도움을 받았다. 내가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을 발견했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게 되면서 더 많은 자금을 투자에 할당할 수 있었다. 소비할 때도 "이 돈을 꼭 써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더 현명한 재정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가계부의 효과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얻은 가장 큰 이점은 나의 재정 상태를 명확히 파악하게 된 것이다. 지출을 조정하고 투자 가능 금액을 파악하면서, 돈의 흐름을 통제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절약이 아니라 장기적인 투자 성공을 위한 첫걸음이었다.

 

"Success is the sum of small efforts, repeated day in and day out." – Robert Collier
(성공은 매일 반복되는 작은 노력들의 총합이다.)
이 인용구는 우리가 매일매일의 작은 경제적 결정을 통해 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


결론

가계부는 단순한 기록 이상의 의미가 있다. 돈의 흐름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투자 자금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자동화 시스템과 함께 가계부를 활용해 장기적인 재정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워나가는 것이 진정한 재정 관리의 시작이다.

이제, 당신도 가계부를 작성하며 나만의 재정 목표를 세우고, 장기 투자 계획을 시작해 보길 바란다.

 


이전글

2024.09.30 - [행복한 투자] - 자금 흐름 자동화: 초보자도 쉽게 시작하는 방법

 

자금 흐름 자동화: 초보자도 쉽게 시작하는 방법

투자를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주식이나 코인에 '한방'을 기대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꾸준한 장기 투자가 훨씬 안정적이고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

dean0212.tistory.com

 

728x90

댓글